반응형
Ⅰ. SLA 기반의 서비스 수준 관리 체계, SLM의 개요
가. SLM의 정의
- 사용자 관점 서비스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서비스 수준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 및 사용자 기대수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리 체계
나. SOW, SLA, SLM의 관계

Ⅱ. SLM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
가. SLM 개념도

- 고객과 IT 서비스 업체간 SLA 바탕 SLM 수준 결정 및 체계적인 성과 관리 진행
나. SLM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설명 |
서비스 정의 및 기준 | Service Catalog | - 제공되는 IT 서비스와 각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의 |
SLA | - 서비스 제공 업체와 고객간의 서비스 계약서 | |
OLA | - 서비스 공급자 내부 부서 간의 합의서 | |
서비스 품질관리 |
Service Quality Plan | - 합의된 서비스 수준 보장을 위한 내부 계획 |
Service Report | - 주기적으로 서비스 수준 위반 여부 검토 | |
운영관리 | SLM 엔진 | - 보고서 작성 자동화, 서비스 모니터 |
Ⅲ. SLM 기술 추세
구분 | 최근 추세 | 설명 |
자동화 및 AI | AI 기반 SLM | AI, 머신러닝 활용 SLA 모니터링 |
AIOps 도입 | IT 운영에 AI 기술 접목하여 지원 | |
실시간 모니터링 | 실시간 대시보드 | 실시간 SLA 준수율 시각화 |
예측기반 SLA | 과거 학습 기반 SLA 위반 예측 | |
유연한 SLA 및 고객 중심 | XLA(eXperience Level Agreement) | 고객 경험 중심 서비스 품질 평가 |
맞춤형 SLA | 고객 요구에 유연한 조정 제공 |
반응형
'IT 기술 > IT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자일 방법론 (0) | 2025.02.27 |
---|---|
MVP(Minimum Value Product) (0) | 2025.02.27 |
SCM(Supply Chain Management) (0) | 2025.02.27 |
SWOT, 3C, PEST (0) | 2025.02.24 |
형상관리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