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19

블록체인 네트워크 종류

Ⅰ. 탈중앙화된 데이터 저장 기술 블록체인정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고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관리하는 기술특징- 탈중앙화중앙 기관 없이 여러 노드가 데이터 관리- 보안성해시 함수와 분산 원장 활용 높은 보안- 변조 방지한 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이 어려움 Ⅱ.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차이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종류종류개념도설명퍼블릭 블록체인- 누구나 참여 개방형 블록체인- 높은 탈중앙화, 투명성 보장- 보안은 높지만 트랜잭션 속도 느림프라이빗 블록체인- 제한된 참여자만 접근 가능- 중앙기관 통제- 처리속도 빠름컨소시엄 블록체인- 여러 조직이 공동으로 운영- 반탈중앙화- 신뢰 기반 협업 시스템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퍼블릭 + 프라이빗 블록체인 장점 결합- 일부 정보 공개,..

안티드론

Ⅰ. 불법 드론 탐지, 식별, 무력화하는 안티 드론의 정의- 테러, 범죄에 사용되거나 조작 미숙에 의한 사고를 야기하는 드론을 탐지, 식별하고 무력화할 수 있는 기술 Ⅱ. 안티 드론의 개념도 및 기술 요소가. 안티 드론의 개념도 나. 안티 드론의 기술 요소구분기술 요소설명탐지 및 식별레이더 탐지전파 이용 드론 위치, 거리, 속도 탐지RF 신호 탐지드론과 조종기 간의 무선 주파수 신호 감지음향 탐지드론의 고유한 소음 감지하여 탐지열 영상 탐지가시관선 및 적외선 카메라 활용 탐지영상 인식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술 활용 탐지무력화전파 교란(Jamming)드론과 조종기 간 통신 차단하여 기능 마비레이저 무기고출력 레이저 이용하여 드론 파괴드론 해킹드론 해킹으로 드론의 통제권 장악GPS 스푸핑가짜 GPS 신호보..

멀티 클라우드

Ⅰ. 멀티 클라우드의 개요개념- 두 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프라를 배포하고 운영하는 전략특징- 비용 최적화서비스나 가격을 비교하여 비용을 최적화- 위험 분산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장애나 중단에 의한 위험을 분산- 유연성특정 CSP의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음  Ⅱ. 멀티 클라우드의 구성도 및 기술 요소가. 멀티 클라우드의 구성도 나. 멀티 클라우드의 기술 요소구분기술 요소설명연동API 연동 및 표준화RESTful API, OpenAPI, gRPC네트워크 연결클라우드 간 전용 네트워크, SDN데이터 연동ETL, 데이터 레이크, 분산 데이터베이스운영자동화 오케스트레이션IaC 관리, CI/CD 자동화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서버리스,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보안 및 ..

가상환경과 컨테이너

Ⅰ. 가상환경과 컨테이너 개념비교구분가상환경컨테이너개념도개념하이퍼바이저를 통해 물리적인 자원을 재구성하여 논리적인 자원으로 제공하는 가상 컴퓨팅 환경컨테이너 엔진을 통해 물리적인 자원을 격리하여 논리적인 자원으로 제공하는 가상 컴퓨팅 환경- 가상환경은 게스트OS로 완전 격리되고 컨테이너는 호스트OS 공유  Ⅱ. 가상환경과 컨테이너 상세비교구분가상환경컨테이너운영체제VM별 자체 OS호스트 OS 공유격리성OS 단위 격리프로세스 단위 격리성능OS 가상화로 오버헤드 큼OS 커널 공유로 성능 우수부팅게스트OS 부팅으로 느림추가 OS 부팀없어 빠름리스소할당된 게스트 OS 리소스 활용OS 공유로 리소스 활용도 높음배포VM 무겁고 배포 어려움이미지로 경량화 및 배포 용이보안성높은 보안성상대적으로 낮음유지보수VM별 OS ..

소프트웨어 리팩토링

Ⅰ. 소프트웨어 내부로직의 재구조화 작업, 리팩토링의 정의 및 목적가. 리팩토링의 정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외부적 기능은 수정하지 않고 내부적인 구조, 관계를 재구조화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기법 나. 리팩토링의 목적- 소프트웨어 디자인 개선- 설계 의도화 구현 코드의 일관성 유지- 소프트웨어 이해도 향상-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개발자 작업 단축- 오류발견 용이성 확보- 소스 구조를 명확히 하여 오류 디버깅 용이- 전체 개발 생선성 유지 - 좋은 디자인으로 개발자 생선성 향상  Ⅱ. 리팩토링의 절차 및 주요 기법가. 리팩토링의 절차  나. 소프트웨어 리팩토링 주요 기법기법정의기대효과매서드 추출(Extract Method)- 긴 메서드의 일부 코드를 별도의 메서드로 분리- 유지보수 용이..

FMEA, HAZOP, STPA

Ⅰ. 안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위험분석의 개요가. 위험분석의 개념- 시스템 내의 위험 요소를 평가하는 분석 방법으로,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에서 주로 사용 나. 위험분석의 필요성시스템 대형화자율주행, 로봇전통적 기법복잡도 증가스마트시티FMEA, HAZOPMission Critical스마트팩토리STPA필요성도메인안전성 기법- 중요도와 복잡도가 증가하는 SW 기술 발전에 대응 가능한 안전성 기법 고도화 필요 Ⅱ. 전통적 위험 분석 기법 FMEA와 HAZOP의 특징 및 한계점가. FMEA와 HAZOP의 특징항목FMEAHAZOP개념- 시스템 구성하는 서브시스템이나 기능에서 발생하는 고장모드(Failure Mode)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는 기법- 시스템이나 프로세스의 가능한 모든 이탈..

현장감리와 PMO

Ⅰ. 공통 감리의 두번째 단계, 현장감리의 개요가. 현장 감리의 정의- 예비 감리, 현장 감리, 조치확인 3단계 감리 중 2번째 감리 단계로, 현장에서 제3자 관점에서 감리 수행 나. 현장 감리 활동 및 작업 내용활동작업 내용산출물감리 준비- 감리 수행 범위, 환경 확인- 감리 계획서착수 회의- 감리 수행 계획 정의감리 수행- 제 3자 입장에서 감리 수행- 감리 산출물보고서 작성- 감리 수행 결과 보고서 작성- 감리 수행 결과서(안)종료 보고- 결과 보고 및 검토, 개선- 감리 수행 결과 보고서보고서 확정- 감리 수행 결과 보고 확정 Ⅱ. 현장 감리와 PMO의 차이가. 제도 도입 측면의 차이구분정보시스템 감리PMO도입 취지- 발주 기관의 요구대로 사업을 수행하였는지를 점검하여 정보시스템 품질 보장- 발주..

상용 소프트웨어 직접 구매

Ⅰ. 상용 소프트웨어 직접구매 제도의 개요가. 상용 소프트웨어 직접구매 제도 개념-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54조에 따라 상용 SW만을 별도로 발주, 평가, 선정 계약하는 방식으로 상용SW 직접 구매하는 제도 나. 상용 소프트웨어 직접구매 제도 개념도 Ⅱ. 상용 소프트웨어 직접구매 제도 적용 및 제외 기준 기준구분설명적용 기준1차 조건- 3억원 이상(VAT 포함) 사업2차 조건- 조달철 종합쇼핑몰 등록 SW 포함(5천만원 미만)- GS, CC, NEP, NET 및 국가정보원 검증/지정 소프트웨어제외 기준대상 사업 제외-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 사업대상 SW 제외- 현저한 비용 상승- 현저한 지연 우려- 현저한 비효율성  Ⅲ. 상용소프트웨어 직접구매 업무 처리 흐름도구분처리절차설명1단계SW 사업 유형 및 사업비..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Ⅰ. 비계획적 소프트웨어 테스트 접근법, 탐색적 테스팅의 개념- 테스트 스크립트 또는 테스트 케이스 문서 없이 경험을 바탕으로 두고 반복적으로 개선하며 수행하는 테스팅 기법 Ⅱ. 탐색적 테스팅의 절차 및 구성요소가. 탐색적 테스팅의 절차 나. 탐색적 테스팅의 구성요소구분구성 요소설명테스트 준비테스트 목표- 기능, 성능, 보안 등의 테스트 목적 설정테스트 차터- 초기 테스트 아이디어나 접근 방법 설정테스트 실행테스트 세션- 실제 테스트 진행 과정, 문제발결 및 접근법 조정테스터- 도메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테스트 실행자분석결과 분석- 발견 결함 분석 및 새로운 테스트 방법 도출문서화테스트 노트- 발견 버그, 결함 및 아이디어 기록  Ⅲ. 탐색적 테스트의 발전구분설명Agile Testing사전 계획 없는 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