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B 트리, B+ 트리 개념 비교
B 트리 | B+ 트리 |
![]() |
![]() |
균형잡힌 m-차 트리로, 모든 노드에 키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 구조 | B트리 확장 구조로, 리프 노드에만 실제 데이터 저장, 내부 노드는 인덱스 역할하는 구조 |
2. B 트리, B+ 트리 상세 비교
항목 | B 트리 | B+ 트리 |
데이터 저장 | 모든 노드 | 리프 노드 |
내부 노드 역할 | 데이터 저장, 인덱스 | 인덱스 역할 |
리프 노드 연결 | 없음 | linked list 연결 |
검색 경로 | 루트 -> 내부 노드 | 루트 -> 리프 |
범위 검색 | 느림 (리프 간 연결 없음) | 빠름 (리프 간 연결) |
공간 효율 | 적은 노드에 분산 저장 | 인덱스는 작지만 리프는 큼 |
장점 | - 삽입/삭제 처리 단순 - 노드 수 작음 |
- 검색/범위 검색 빠름 - 정렬된 순서 유지 쉬움 |
단점 | - 범위 탐색 비효율적 - 내부 노드 변경 많음 |
- 리프 노드가 커서 디스크 접근 많음 |
반응형
'IT 기술 > DS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 알고리즘 (0) | 2025.04.18 |
---|---|
스택, 큐의 자료 입출력 원리 (0) | 2025.04.18 |
Red-Black 트리 (0) | 2025.04.18 |
트리 순회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