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데이터 손실 방지, 데이터베이스 백업의 개요
정의 |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안전한 저장소에 복사하여 시스템 장애나 오류 발생 시 원래 상태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
필요성 | - 데이터 손실 방지 | HW/SW의 고장 또는 사람의 실수로 손실되는 데이터 복구 |
- 보안 사고 대응 | 악성코드나 해킹으로 데이터 삭제 시 이전 상태로 복구 | |
- 서비스 연속성 확보 | SLA 준수와 고객 신뢰 유지에 핵심 역할 |
- 전체 백업, 차등 백업, 증분 백업 등 다양한 백업 유형 존재
2. 데이터베이스 백업의 유형
구분 | 유형 | 설명 |
백업 범위 | 전체 백업 (Full) | 가장 기본, 데이터베이스 전체 백업 |
차등 백업 (Differential) | 마지막 전체 백업 이후 변경 데이터만 백업 | |
증분 백업 (Incremental) | 마지막 백업 이후 변경된 데이터만 백업 | |
백업 방식 | 오프라인 백업 | DB 서비스 중지 후 백업 수행 (Cold Backup) |
온라인 백업 | DB 운영 중 실시간 백업 (Hot Backup) | |
저장 위치 | 로컬 백업 | 동일 서버나 내부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 |
클라우드 백업 | 외부 NAS, 백업 서버, 클라우드에 저장 | |
복제 방식 | 스냅샷 백업 | 저장장치의 상태를 순간적으로 복제 |
로그 백업 | 트랜잭션 로그만 저장하여 특정 시점 복구 |
3.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위한 제언
항목 | 설명 | 세부 방향성 |
백업 전략 체계적 수립 | - RPO/RTO 기반 맞춤형 백업 | 데이터 중요도 기반 백업 주기 설정 |
백업 자동화 및 복구 테스트 | - 백업 자동화 도입, 복구 시뮬레이션 | 자동화 스케쥴링 도구 활용 |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대응 | - 백업 데이터 암호화 및 접근 제어 | 데이터 암호화, 접근 통제 정책 수립 |
반응형
'IT 기술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C (Change Data Capture) (0) | 2025.04.09 |
---|---|
4차 정규화 (0) | 2025.04.09 |
데이터 옵스(DataOps) (0) | 2025.04.09 |
정규화와 역정규화 (0) | 2025.04.09 |
데이터 카탈로그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