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Ⅰ. LTE 기반 공공 안전 통신망, PS-LTE의 정의

- 자연재해, 사고, 테러 등의 위기 상황에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
Ⅱ. PS-LTE의 추진목적과 구성기술
가. 추진 목적
구분 | 목적 | 설명 |
사회적 측면 | 재난 대응 효율성 | 통신 단절 문제 해결 |
통합 재난 관리 | 기관 통신망 통합 관리 | |
기술적 측면 | 안전성, 신뢰성 | 전용 주파수와 네트워크 |
실시간 정보 공유 | 재난 현장 데이터 공유 | |
제도적 측면 | 재난관리 표준화 | 재난 대응 표준 정의 |
국제 협력 | 글로벌 협력 기반 강화 |
나. 구성 기술
구분 | 구성 기술 | 설명 |
통신 | MCPTT | - LTE 기반 무전기 기능으로 다중 음성 통신 지원 |
D2D | - 단말 간 직접 통신으로 네트워크 인프라 의존도 낮춤 | |
ProSe | - 근접 단말 기지국을 통한 직접 통신 지원 | |
GCSE(그룹통신) | - 동일 통신 그룹 단말기들 일대 다수로 통신 | |
IOPS(단독기지국모드) | - 임시적 커버리지 확보위한 이동 기지국 | |
위성통신 | - 위성 통신망 기반 광범위 재난 지역 통신 | |
네트워크 | 5G | - 초저지연 통신, 초고속 데이터 전송 지원 |
IoT 네트워크 | - 현장 IoT 장치 활용 실시간 데이터 수집 | |
네트워크 슬라이싱 | - 단일 네트워크 다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 | |
QoS 보장 | - 긴급 상황에서 우선순위 기반 트래픽 관리 |
Ⅲ. RAN-Sharing 기술유형

구분 | 기술 유형 | 설명 |
Active Sharing | MORAN (Multi-Operator Radio Access Network) |
- RAN 장비(기지국, 안테나) 공유 - 독립적인 주파수 사용 |
MOCN (Multi-Operator Core Network) |
- RAN 장비뿐만 아니라 주파수도 공유 - 독립적인 코어 네트워크 |
|
GWCN (Gateway Core Network) |
- RAN과 주파수 공유 - 코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까지 공유 |
|
Passive Sharing | Site Sharing | - 타워, 셸터, 전원 등 물리 인프라 궁유 - RAN 장비, 주파수 독립 운영 |
Infrastructure Sharing | - 전력 설비, 백홀 전송망 등 네트워크 인프라까지 공유 |
Ⅳ. 향후 발전방안
구분 | 발전 방안 | 설명 |
기술적 발전 | - 5G 기반 PS-LTE | - 초대역, 초저지연, 초연결 |
- MEC 활용 | - 실시간 데이터 처리 | |
- IoT 연동 | -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
- 드론 및 로봇 | - 로봇 기반 원격 재난 대응 | |
- MCPTT 고도화 | - 영상 공유 가능한 MCPTX | |
운영적 발전 | - 민간 협력 | - 민간 통신 사업자 협력 |
- 디지털 트윈 | - 인프라 가상 구축 시뮬레이션 | |
- 모의훈련 | - 공공 안전 조직 간의 협력 훈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