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Ⅰ. DBMS의 궁극적인 목표, 데이터 독립성의 개요
가. 데이터 독립성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나 데이터의 저장 방식에 변화가 생겨도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능력
나. 데이터 독립성의 종류
종류 | 설명 | 예시 |
논리적 독립성 | - 개념 스키마(논리적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응용 프로그램)의 변경이 불필요 | 테이블에 새로운 열(column)을 추가하거나 관계를 변경해도, 기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물리적 독립성 | - 내부 스키마(물리적 저장 방식)가 변경되더라도 개념 스키마와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성질 | 인덱스를 추가하거나 저장 매체를 변경해도 논리적 구조나 프로그램은 변경할 필요 없음 |
Ⅱ. 데이터 독립성 보장을 위한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스키마 설명
가.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나.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상세 설명
구분 | 요소 | 설명 |
독립성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 외부/개념 스키마간 대응 관계 - 응용 인터페이스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 개념/내부 스키마간 대응 관계 - 저장 인터페이스 |
|
스키마 | 외부 스키마 | - 사용자가 접근하는 DB 정의 |
내부 스키마 | - 저장장치 입장에서 전체 DB 정의 | |
개념 스키마 | - 시스템, 사용자 통합 조직 전체 DB |
반응형
'IT 기술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통합 관리 (1) | 2024.12.04 |
---|---|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0) | 2024.12.04 |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 (0) | 2024.12.04 |
데이터옵스 (DataOps) (0) | 2024.12.04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