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IT 경영전략
형상관리
gooooooood
2025. 2. 24. 14:21
반응형
Ⅰ. 소프트웨어 개발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형상관리 개념
가. 형상관리 개념 및 개념도
- 형상 항목 식별하여 기능적, 물리적 특성을 문서화, 변경 제어, 변경 처리 상태를 기록 및 보고, 요구사항 검증을 수행하는 기술 관리적 감독 활동
나. 형상관리 특징
-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단위로 형상관리 계획서 작성 시 설정
- 기준선이 될 형상항목의 선정 및 변경은 형상통제위원회를 통해 결정
Ⅱ. 형상관리 구성요소 및 절차
가. 형상관리 구성요소
구분 | 설명 |
기준선 | - 각 형상 항목들의 기술적 통제시점 - 모든 변화를 통제하는 시점의 기준 |
형상항목 | - 프로젝트에서 공식적으로 정의되어 관리되는 모든 대상 - 문서, 프로그램, 데이터 등 |
형상물 | - 형상관리의 실제 대상 - 기술문서, 개발툴, 소스코드, 모듈, 실행파일 |
형상버전 | - 기준선 설정 후 일어난 변경 기록 - 식별명과버전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를 하나로 식별 |
CCB | - 형상관리위원회 - 베이스라인에 대한 설정 권한과 관리 기능을 갖는 조직 - 개발 산출물의 베이스라인 관리 및 통제 |
Repository | - 형상관리 항목들에 대한 물리적 저장공간 및 형상 메타 데이터의 저장공간 |
나. 형상관리 절차
단계 | 내용 |
형상식별 | - 형상관리 대상 구분, 관리 목록 번호 부여 |
형상통제 | - 형상 변경 제안 검토하여 기준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통제 - 변경 요구관리/변경제어/형상관리 조직 운영/형상통제 지원 |
형상감사 | - SW 베이스라인 무결성 평가 - 기준선 변경시 요구사항 일치 여부 검토 - 형상관리의 검증과 확인 활동 |
형상기록 | - SW 형상 및 변경관리에 대한 각종 수행결과 기록 - 형상관리 보고서 작성 |
Ⅲ. 형상관리 기준선
단계 | 기준선 | 시점 | 산출물 |
계획 | 기능 기준선 | 사용자 요구기능이 정의되는 시점 | 개발계획서, 형상관리계획서 |
요구분석 | 할당 기준선 | 요구기능이 서브시스템으로 분할되는 시점 | 요구사항정의서 |
설계 | 설치 기준선 | 개발전 설계사양이 완성되는 시점 | ERD, Class Diagram |
구현 | 시험 기준선 | 시험을 위한 준비수립 시점 | 원시코드, 실행코드 |
시험 | 제품 기준선 | 통합, 기능, 성능 등의 시험완료 시점 | 시험보고서 |
설치/운영 | 운영 기준선 | 개발이 완료되어 운영을 위해 이관되는 시점 | 사용자 매뉴 |
- 소프트웨어 개발 진행 시 다양한 형상관리 도구를 활용한 형상관리로 발생가능한 문제 예방 및 해결
Ⅳ. 형상관리 도구
구분 | 형상관리 도구 | 설명 |
저장관리 측면 | - CVS, SVN - Git |
- 소스코드 등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도구 - 서버/클라이언트 구조(SVN), 분산저장소 타입(Git) |
- GitHub - Google Code |
- 소스코드 등 컴퓨터 파일을 웹서비스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 제공 및 소셜 기능 제공 도구 | |
변경관리 측면 | - 변경요청서 - 형상상태 보고서 |
- 형상에 대한 변경, 상태 등에 대한 문서화 관리로 기록 및 협업을 위한 문서 도구 |
- 형상통제위원회 | - 변경에 대한 검토, 승인, 거부 등을 수행 및 관리 |
- 형상관리 도구를 이용한 형상관리 절차 수행을 위해 프로젝트 단계별 기준선 관리가 필요
반응형